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귀촌할 때 절대 피해야 할 지역 사례 총정리

by 아트온다 2025. 4. 27.
반응형

귀촌을 결심할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어디로 갈까?"를 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귀촌 성공 여부는 '어디를 선택하느냐'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겉보기엔 아름다운 자연환경이지만, 실제 살아보면 심각한 문제가 있는 곳들도 많습니다.

아래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귀촌 시 절대 피해야 할 지역 특징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1. 인구 과소화가 심각한 '소멸 예정 지역'

사례:
전남 고흥군 외곽에 귀촌한 40대 부부는 처음엔 저렴한 땅값과 아름다운 풍광에 반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살다 보니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 초등학교 폐교,
  • 병원 없음,
  • 상점 없음,
  • 버스 하루 2번,
  • 젊은 층 전멸.

결국 2년 만에 도시로 돌아갔습니다.

핵심 포인트:

  • 소멸 위험 지역(행정안전부 발표 기준)은 기본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음
  • 특히 교육, 의료 접근성 심각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읍내 중심지에서 30분 이상 떨어진 벽지
  • 20~40대 인구 비율 10% 미만 지역
  • 최근 5년 동안 폐교가 급증한 지역

2. 내부 갈등이 심한 마을

사례:
경북의 한 농촌 마을로 귀촌한 50대 부부는 주민들 사이 심각한 '패거리 문화'에 시달렸습니다.
서로 파벌을 지어 다투고, 선거철에는 고소 고발이 난무했으며, 외지인은 어느 편에도 끼지 못해 철저히 고립됐습니다.

핵심 포인트:

  • 시골은 작고 끈끈한 커뮤니티인 만큼 내부 갈등이 심하면 외부인은 '샌드위치'가 되기 쉽다.
  • 갈등이 많은 마을은 외지인이 끼어들 틈이 없다.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마을 내 갈등, 소송, 고소 사례가 빈번한 곳
  • 선거철마다 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는 곳
  • 이장 선거 경쟁이 과열되는 지역

3. 범죄율이 높은 지역

사례:
전북 군산 외곽에 귀촌한 한 여성은 집 주변에서 빈번한 절도, 무단 침입 사건을 겪었습니다.
특히 외지인 집이 빈집처럼 보이면 표적이 되기 쉬웠습니다.
밤에도 외부 조명이 부족해 불안감을 느껴 결국 이사를 결심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귀촌지는 안전이 생명
  • 시골이라고 범죄가 없는 게 아니라, 오히려 치안 인프라가 취약할 수 있다.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최근 1년간 절도, 빈집 침입 발생률이 높은 지역
  • 파출소, 지구대까지 거리가 먼 곳
  • 야간 외부 조명 인프라가 부족한 마을

4. 개발 예정지 주변 (투기 실패 지역)

사례:
경기도 외곽 한 지역은 '곧 산업단지가 들어선다'는 소문에 귀촌 인구가 몰렸습니다.
하지만 실제 개발은 지연되고 무산되었으며, 집값은 폭락했습니다.
결국 많은 귀촌인이 재산 손실을 입고 다시 도시로 복귀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개발 기대심리에만 의존한 귀촌은 매우 위험
  • 계획 무산, 사업 지연은 흔한 일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개발 확정이 아닌 '계획 단계' 지역
  • 사업자가 자주 바뀌는 지역
  • 관공서 공고보다 "소문"만 무성한 지역

5. 기후 재난에 취약한 지역

사례:
충청지역 한 귀촌인은 매년 장마철만 되면 마을이 물에 잠기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국지성 폭우로 하천이 범람하고, 농작물도 매년 피해를 입었습니다.
농사를 지으려고 귀촌했지만 재해로 수익이 무너졌고, 결국 생활 기반을 잃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저지대, 하천변 지역은 리스크가 크다.
  • 농촌은 특히 재해 복구가 늦고 피해가 크다.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과거 침수 이력이 있는 마을
  • 하천변, 제방 근처 저지대 지역
  • 태풍, 산사태 피해 기록이 있는 곳

6. 텃세가 극심한 지역

사례:
경남 남해의 한 시골 마을에 귀촌한 가족은 처음부터 텃세에 시달렸습니다.

  • 이웃들이 모임에서 배제하고,
  • 농산물 판매도 막고,
  • 아이가 학교에서 왕따를 당했습니다.

결국 아이 교육 문제로 1년 만에 다시 도시로 돌아왔습니다.

핵심 포인트:

  • 외지인에 대한 배타적 정서는 일부 마을에 여전히 강하다.
  • 특히 폐쇄적이고 인구 감소가 심한 지역일수록 텃세가 극심한 경향.

절대 가지 말아야 할 조건:

  • 외지인 정착 실패 사례가 많은 지역
  • 귀촌인 비율이 극단적으로 낮은 지역
  • 지역 행사 참여 압력이 지나치게 강한 곳

요약 정리

구분피해야 할 지역 특성
인구 문제 소멸 예정 지역, 20~40대 인구 비율 낮음
공동체 문제 내부 갈등 심한 마을, 파벌 싸움 심한 곳
치안 문제 절도, 침입 범죄 빈번한 곳
개발 실패 개발 계획만 있고, 진행 지연·무산 지역
기후 리스크 침수, 산사태, 태풍 피해 이력 있는 곳
사회 문화 텃세 심하고 외지인 배타적 분위기

결론

귀촌을 준비할 때는 아름다운 자연, 저렴한 땅값만 보고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살기 좋은 곳'과 '잠깐 보기 좋은 곳'은 완전히 다릅니다.
현장을 직접 여러 번 방문하고, 마을 사람들과 대화해보고,
주변 인프라와 재난 기록, 사회적 분위기까지 면밀히 점검해야 진짜 성공적인 귀촌이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