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매매방법10 비트코인 청산당하지 않는 방법? 나씨의 투자 매매 원칙 1. 오버나잇은 절대 금지 2. 시드의 80%는 무슨일이 있어도 현금으로 보유 3. 순환매 혹은 추매시, 단기반등이 오면 무조건 추매물량 매도 오버나잇을 하거나 단타를 치더라도 씨드의 80%는 무슨일이 있어도 현금으로 보유해야 합니다. 무조건 순환매 혹은 추매 시 단기반등이 오면 추매 물량을 매도하는 겁니다. 위 체크한 시점에서 매수를 들어갔다고 칩시다. 단기 반등에서 매도는 필수입니다. 이 룰을 지켜주셔야 합니다. 즉 시드를 항상 풀파워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단기 반등, 즉 발목에서 매도를 하는 이유는 4년간 단타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터득한 생존본능입니다. 10%, 20% 이렇게 먹으려다가 초가삼간 태우는 꼴을 볼수도 있기 때문에 안 하는 것 뿐이죠. 3가지 원칙을.. 2021. 9. 25. 흐르는 차트에서 진입시점 어떻게 찾을까? 비트코인 흐르는 차트에서 진입시점을 어떻게 찾을까? 5분봉 차트로 보면 하락세가 완만하다. 진입시점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때는 15분봉으로 바꿔서 보면 됩니다. 여기서 진입할 수 있는 타이밍을 보겠습니다. 이중에서 어디를 매수하냐면, 3틱에서 1차 매수 들어갑니다. 4틱에서 2차 매수 들어가구요. 평단금액이 약 7,250원정도 되는데요. 5분봉 3틱룰은 기본적인 룰입니다. 평범한 상황에서만 써야합니다. 급격하게 상승했거나 급격한 하락을 보이는 코인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40%이상 오른 코인들 반대로 아래로 내리꽂은 코인들 이런 코인들은 가능하면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예전에는 이런 코인들도 5분콩 3틱룰을 잘 먹었습니다. 예전보도 5분봉 3틱룰이 잘 안먹는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 이유는 내.. 2021. 9. 25. 비트코인, 대폭락장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메타디움 차트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5분봉입니다. 3개의 음봉이 나왔을 때부터 이상함을 느껴야 합니다. 일단 비트가 횡보를 하고 있는데 코프(김치프리미엄)이 빠지고 있는 경우입니다. 모든 코인이 전체적으로 다 흐르거나 혹은 거래량이 줄어드는 경우인데요. 이 경우가 이제 느낌이 쎄한 경우이죠. 이상함을 감지하기 전에 저 지점에서 1차 매수를 했다고 칩시다. 평단은 1차 매수지점이 되겠죠. 그 뒤 2차, 3차 매수가 들어 갔다고 칩시다. 평단은 위 빨간색 선에서 유지되었다고 칩시다. 그 이후로도 계속 흐르기만 하기 때문에 더이상 추가 매수를 하지 않습니다. 이상함을 감지했다면 추가매수 간격을 넓히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이상함을 좀 늦게 감지했다면 더이상 추가매수를 하지 말고 버티는 겁니다. 그 다음에.. 2021. 9. 22. 비트코인 매매방법? 반등없는 대폭락장 대응 방법? 비트코인 매매 방법 붕 5분봉 3틱룰과 순환매수매도방법이 있는데요. 이게 모든 상황에서 완벽한 건 아닙니다. 순환매수매도도 단점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의 단점은 반등이 없는 하락장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반등이 안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반등이 않오면 순환매수매도도 못하고 5분봉 3틱룰도 못하죠. 100% 완벽한 기법은 없구요. 상황에 따라서 디테일하게 컨트롤을 해주는 대응전략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잘 먹히니까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일 때를 얘기해보겠습니다. 이때 어떤식으로 접근을 하면 5분봉 3틱룰을 잘 쓸 수 있을까요? 눈치가 빨라야 합니다. 이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하락의 세기를 먼저 파악하라! 하락의 세기는 어떻게 파악을 하느냐? 캔.. 2021. 9. 21. 비트코인 패턴매매 방법,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앤숄더패턴 헤드앤숄더와 역헤드앤숄더패턴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헤드 앤 숄더 패턴은 하나의 수평적인 지지라인 그러니까 매물대를 기준으로 왼쪽 어깨 가장 큰 머리 그리고 오른쪽 어깨 이렇게 세 개의 봉우리로 구성되는 패턴을 헤드 앤 숄더 패턴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규칙을 조금 말씀드리자면, 양 사이드 어깨는 비슷한 가격 움직임의 폭을 보여주어야 하구요. 가운데 봉우리는 다른 두 개보다 높고 커야 합니다. 헤드 앤 숄더 패턴은 이 지지 라인이 보통 깨졌을 때 확정이 되며 보통 목표가를 네크라인으로부터 정수리까지 계산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이 패턴같은 경우에는 이 차트같은 경우에는 헤드 앤 숄더에 대한 목표가가 정확하게 도달이 된 차트는 아니다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탈이 됐을 때, 이탈이 된 이후에 가.. 2021. 9. 19. 비트코인 패턴매매방법, 깃팔패턴, 불플래그패턴, 베어플래그패턴 깃발 패턴이란게 있어요. 플래그 패턴은 추세를 이어나가기 위해 잠시동안 횡보를 하는 것으로 우리가 인식을 하게 되는데요. 가격이 상승 추세를 이어나가다가 평행 채널을 그리게 되면서 가격이 횡보하는 경우 또 한번의 추가적인 상승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보통 그때의 이 값이 이전 상승의 깃대의 폭과 같습니다. 상승의 폭을 우리가 깃대의 폭만큼을 목표가로 설정해놓고 거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플래그 패턴의 경우 진입보다는 목표가 설정이 더 핵심인 패턴입니다. 이렇게 상승추세에서 발견되는 플래그 패턴을 불 플래그라고 합니다. 반대로 하락추세에서 발견이 되는 플래그 패턴을 베어 플래그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하락추세에서도 플래그 패턴이 나올 수가 있죠. 이건 일종의 수렴이라고 보는 것이 사실 더 정.. 2021. 9. 19. 피보나치를 활용한 비트코인 매매 방법? 피보나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보나치 비율은 트레이딩 진입의 요소로 쓰기보다는 수익 청산을 위한 기준으로써 많이 잡고 있습니다. 간혹 매매에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는 매물대, 혹은 다른 저점과 고점 레벨. 혹은 추세선 레벨에 겹쳐서 보인다거나 그럴 때 조금 더 확신을 가지고 매매를 들어가는데 이용을 하는 편입니다. 피보나치를 긋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저점과 고점을 연결하거나 고점과 저점을 연결하면 되는데요. 가격적인 상승이 있던 차트가 하락이 막 나오기 시작했을때 지지 구간을 찾고 싶다면 저점과 고점에서 연결하면 됩니다. 보통은 추세선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많이 사용을 하게 되는데요. 아니면 본격적인 추세선이 시작되었다고 느껴지는 구간에서 사용을 하기도 합니다. 지지구간을 찾고 싶다면 저점에서 .. 2021. 9. 17. 추세선을 활용한 비트코인 매매 방법? 하락구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지를 받은 구간을 명확하게 볼 수 있는데요. 저항을 받던 라인에서 돌파가 나온 이후에 가격이 눌림을 받았을 때 '눌림목'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이렇게 지지를 받은 모습입니다. 이런 저항을 받던 자리는 돌파가 나오면 지지를 받는 라인이 됩니다. 이런 것을 되돌림, 리테스트라고 부릅니다. 이런 구간에서 매수를 잡고 손절은 짧게 수익은 길게 가져가는 전략을 취하게 됩니다. 보통 리테스트 매매를 하게 되면은 손절이 매우 짧거나 혹은 가격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본절을 할 수 있는 유리한 거래를 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건 실제로 매매를 해봐야만 알 수가 있는데요. 추세뿐만 아니라, 매물대와 저점, 고점에 의한 지지 저항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매매가 가능하죠. .. 2021. 9. 17. 추세선과 지지선, 저항선을 이용한 비트코인 거래방법? 리테스트 구간에서의 매도 매수가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트레이더들이 매매 전략으로 삼는 트레이딩 기법 중에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같은 경우에 고점과 고점을 잇는 트렌드를 그려보면 저항을 받던 트렌드의 이탈이 발생을 했습니다. 이탈이 발생한 뒤에 돌파가 나왔고 이 돌파가 나온 자리는 원래 저항을 받던 자리였는데 지지로 바뀌게 되죠. 돌파하고 지지를 받게 되면서부터 트레이더들이 매수를 받습니다. 그래서 정확히 가격은 위와 같은 위치에서 반등이 일어나서 올라간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100%는 아니지만, 차트에서 추세의 이탈이 발생하고나면 차트는 리테스트 자리를 보여주려고 하는 편입니다. 그건 상승추세이든 하락추세이든 관계없이 1분 봉이든 1시간 봉이든 관계없이 단기적으로 봐도 그런 리테스트.. 2021. 9. 17. 비트코인 매매 방법, 추세선과 지지와 저항 지지와 저항에 대한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지와 저항을 알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매물대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매물대란 거래가 많이 일어난 가격대를 의미하는데요. 이런 매물대는 가격이 내려오면 지지를 받거나 가격이 오르면 저항을 받는 가격대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매물대뿐만 아니라 눈에 띄는 직전 저점과 고점 이런 부분도 트레이더들이 매매를 할 때 기준을 잡는 가격대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직전 저점에 대한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직전의 가격 저점을 깨지 않고 지켜주었기 때문에 강한 매수세를 동반하면서 더블바텀(Double bottom) 쌍저점이라고 부르죠. 더블 바텀에 대한 패턴으로 인식되면서 강한 반등이 동반되었습니다. 이런 게 바로 지지와 저항입니다. 추세선에 의한 지지와 저항.. 2021. 9.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