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지자체 귀촌 정책 순위 41위~50위 상세 정리

by 아트온다 2025. 4. 19.
반응형

귀촌 정책 순위 41위부터 50위까지의 지자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들 지역은 상대적으로 정책 홍보나 도시 접근성 측면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지만, 현장 기반의 실용적 귀촌 정책, 생활비 절감형 정착환경, 귀촌자 중심 공동체 운영 등에서 강점을 보여주는 곳들입니다.


✅ 대한민국 지자체 귀촌 정책 순위 (41위~50위 상세 정리)


41위. 강원도 정선군

  • 정책 특징: 폐광지역 재생사업과 연결된 귀촌 지원 확대
  • 핵심 지원:
    • 농지 임대, 마을형 공동주택 제공, 도시민 대상 체류형 귀농학교 운영
    • 광산마을 리모델링 보조 사업
  • 강점: 고도 지역이지만 도보 여행·트레킹 수요와 맞물려 귀촌자 커뮤니티 성장
  • 정착사례: 예술가·장년층 중심의 마을 공동 정착 사례 증가
  • 특이사항: 정암사·탄광문화촌 등과 연계한 관광형 귀촌 추진

42위. 충남 논산시

  • 정책 특징: 농업기반 튼튼한 전통 귀촌지
  • 핵심 지원:
    • 귀농창업+주택 복합 융자 지원, 지역농협과 연계한 농기구 대여 시스템
    • 마을단위 작목반과 연계한 정착 인큐베이팅
  • 강점: 계룡산~금강 인근 자연환경, 서울에서 KTX로 1시간대 거리
  • 정착사례: 고추·참깨 재배 중심 1인 자급농 귀촌인 증가
  • 특이사항: 귀촌인 대상 논산 특산물 공동판매 시스템 제공

43위. 경북 고령군

  • 정책 특징: 낙동강권 중심의 농산촌 귀촌지
  • 핵심 지원:
    • 귀농인 창업자금, 스마트팜 시범사업, 마을 공동체 교육비 전액 지원
    • 농기계 공동창고 설치 및 교육 병행
  • 강점: 주변 도시 대비 낮은 주거비, 중노년층 귀촌자 인기
  • 정착사례: 자녀 교육과 연계된 가족형 귀촌 사례 다수
  • 특이사항: 고령 대가야 역사문화권 연계 콘텐츠 사업 가능

44위. 전북 부안군

  • 정책 특징: 변산반도 국립공원과 연계된 생태 귀촌 특화
  • 핵심 지원:
    • 생태 농업 창업자금, 귀촌인 공동텃밭 조성, 로컬푸드 직거래장터 입점 지원
    • 귀촌 시범마을 3곳 지정 운영
  • 강점: 바다·산·평야가 함께 있는 귀촌 입지의 다양성
  • 정착사례: 유기농업과 체험농장 병행 사례 다수
  • 특이사항: 새만금 개발과 연계된 귀촌+도시형 융합지

45위. 경남 의령군

  • 정책 특징: 소규모 인구 중심 정착형 귀촌 마을 육성
  • 핵심 지원:
    • 빈집 리모델링, 귀농인 창업 상담센터 운영, 농기계 무상교육
    • 귀촌공동체 단지 시범 운영 (소형 주택+공동작업장)
  • 강점: 한적한 시골 정착 선호자에게 최적화, 조용한 생활환경
  • 정착사례: 귀촌 후 농산물 소량 유통 창업 다수
  • 특이사항: 고령자 전용 ‘전원형 돌봄 귀촌’ 모델 구축 추진

46위. 전남 영암군

  • 정책 특징: 국립공원 월출산 자락 중심 치유형 귀촌
  • 핵심 지원:
    • 귀농인 영농창업장 조성 지원, 귀농 주택 구입자금 보조, 한옥 리모델링 사업
  • 강점: 남도 지역 특유의 따뜻한 기후와 문화적 포용성
  • 정착사례: 치유농장, 도예 공방 귀촌인 점차 증가
  • 특이사항: ‘고택 귀촌사업’으로 전통가옥 보존+정착 장려

47위. 강원도 삼척시

  • 정책 특징: 해양형 귀촌과 산촌형 귀촌이 공존하는 복합 입지
  • 핵심 지원:
    • 귀촌인 농지 제공, 산림자원 이용 귀촌교육, 해양체험 귀촌학교 운영
  • 강점: 산·바다·도시를 한 번에 누릴 수 있는 입지 구조
  • 정착사례: 귀촌 후 해산물 가공 판매 창업 사례 존재
  • 특이사항: 폐광지역 귀촌지 재생지원 정책과 연계

48위. 전북 김제시

  • 정책 특징: 평야농업 중심 전통형 귀촌도시
  • 핵심 지원:
    • 귀농창업 패키지 지원, 작목별 맞춤 교육, 귀농인 공동체 텃밭 지원
  • 강점: 논농사 기반으로 대규모 귀농 창업에 적합
  • 정착사례: 벼·콩·참깨 등 대면적 작물 재배 귀촌 성과 우수
  • 특이사항: 김제지평선축제와 연계된 농촌체험 콘텐츠 개발 가능

49위. 충북 진천군

  • 정책 특징: 수도권 배후 귀촌지, 귀촌+창업 연계 전략 추진
  • 핵심 지원:
    • 귀농창업자금 + 로컬가게 창업보조, 귀촌형 농가형 카페 창업 지원
    • 마을공동체형 창업공방 유치 정책
  • 강점: 서울, 청주, 세종과 인접해 ‘생활은 농촌, 소득은 도시형’ 실현 가능
  • 정착사례: 젊은 부부 귀촌→유기농 카페 창업 사례 주목
  • 특이사항: 기업형 6차산업 귀촌단지 조성 추진

50위. 경북 성주군

  • 정책 특징: 참외 농업 중심, 특산물 브랜드화 귀촌
  • 핵심 지원:
    • 참외 농업 창업 인큐베이팅, 하우스농업 지원금, 참외 가공 유통 교육
    • 귀촌형 청년 창업 보조 (가공 유통까지 연계)
  • 강점: 참외 전국 시장점유율 70%, 틈새시장 귀촌 성공률 높음
  • 정착사례: 귀촌 3년차 부부, 참외 가공 판매로 연소득 6천만 원
  • 특이사항: ‘성주참외농촌융복합산업단지’와 연계한 입주 귀촌지원

🧭 요약표 (41~50위)

순위지자체핵심 전략지원 특징정착 유형
41위 정선군 폐광 재생 귀촌 공동주택+귀농학교 예술인, 은둔형
42위 논산시 농업 전통 귀촌 창업+농협 연계 참깨, 고추 중심
43위 고령군 중장년 귀촌 특화 스마트팜+협업 가족 귀촌
44위 부안군 생태 관광 귀촌 생태농+체험장 체험형 정착
45위 의령군 조용한 시골 귀촌 공동주택+농기계 중노년 자급형
46위 영암군 치유+예술 귀촌 도예+한옥 지원 도예귀촌
47위 삼척시 해양+산촌 융합 어업+산림교육 어촌체험형
48위 김제시 논농사 기반 창업+작목특화 대규모 작물 재배
49위 진천군 창업형 귀촌 카페+공방 창업 젊은 귀촌
50위 성주군 참외 특화 귀촌 창업보조+유통교육 브랜드 농업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