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양도소득세4 홍남기 해임청원, 주식 투자 세금 폭탄의 시대가 온다! 양도세를 내야 하는 대주주의 주식 보유 기준이 10억원에서 3억원으로 내려가는 것에 관해 우리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양도소득세를 대주주 요건을 살펴보면 대주주 요건가 시가총액 요건과 지분율 요건이 있습니다. 지분율 요건은 코스피 1%, 코스닥 2%인데요. 이 것은 변경되는 사안도 아니고 이번에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도 아니기 때문에 바로 시가총액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에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대주주 요건인 한 종목을 10억원 이상 갖고 있을 때에서 3억원으로 하향조정된다는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나는 3억원이 없으니까 괜찮지 않을까?" 하실 수도 있지만 중요하게 보셔야 할 것은 본인 뿐만 아니라 특수관계자가 갖고 있는 주식까지 합쳐서 3억원이라는 것입니다. 구체.. 2020. 10. 28. 주식양도세 부과, 투자 방향은? 주식양도세의 현재 상황부터 알아볼게요. 현재는 1종목에 10억 이상 투자한 투자자들에게만 주식 양도세를 냅니다. 양도세는 20~30%정도가 부과가 됩니다. 이러한 사람들을 대주주라고 하지요. 내년 4월부터는 1종목에 3억 이상만 투자해도 주식 양도세를 내야합니다. 양도세는 20~30%입니다. 사실 이것때문에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되나 걱정이 되는데요. 그런데 얼마전에 주식양도세에 대해서 정부의 계획안이 발표가 됐습니다. 아직 확정안이 나온건 아닌데요. 확정안은 6월 말쯤에 나온다고 합니다. 현재 정부 계획안에 따르면 주식 양도세는 모든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구요. 1년 동안 주식을 사고 팔다보면 이익이 날때도 있고 손실이 날 때도 있죠? 이익 나온 거를 플러스 손실 난 거를 마이너스로 해서 다 합산한 다.. 2020. 6. 25. 주식양도소득세 언제 내는 걸까? 장기 투자자분들은 주식양도세에 대해서 신경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양도세라고 하는 것은 주식을 매도했을 때 수익에 대한 세금이거든요. 그러니까 수익률이 아무리 높아도 주식을 팔지 않으면 양도세는 내지 않는 것입니다. 양도소득세가 기준이 있는데요. 현재는 한 종목 당 10억을 대주주로 봅니다. 그런데 이것을 3억으로 낮추겠다는 얘기입니다. 코스피 기준으로 지분율이 1% 또는 3억원 이상이면 대주주로 간주해서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한 가지 주의하실 점은 보통주와 우선주를 구분없이 한종목으로 본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삼성전자 보통주를 2억 9천만원 그리고 삼성전자 우선주도 2억 9천만원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삼성전자라는 한 회사로 보기 때문에 보통주 우선주 합쳐서 5억 8천으로 간주합니다... 2020. 6. 25. 주식 양도세, 2023년부터 모든 주식에 부과! 2023년부터 모든 상장주식과 펀드의 양도차익 세금을 부과하구요. 장외파생상품과 채권에 대한 과세는 2021~2022년 안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구요. 금융투자 손실은 이월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매도가격에 부과하는 0.25%인 증권거래세는 매년 0.05%씩 낮출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정부는 2023년부터 모든 주식 양도차익에 대해서 과세하는 방안을 올 6월 말에 확정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별다른 사정이 없는 한 위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 구체적인 수치, 기간, 대상 등이 언급될 것 같아요. 19년에 예고한 금융세제 선진화방안 추진 계획에 연장선상으로 양도세 확대 거래세 축소가 주된 내용입니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는 외국에서는 거래가 없고 양도세가 주인 반면에 한국은 거래세 부과제도를 .. 2020. 6. 16. 이전 1 다음